자동차 타입별 특징 및 구분

자동차 타입별 특징으로 나에게 맞는 차를 찾아봐요


에디입니다.
자동차의 타입별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를 고르기 위해서는 먼저 차의 유형별 특징을 제대로 파악해 두고 그 메리트와 단점을 이해하고 있지 않으면, 구입하고 나서 후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경차
배기량 1,000cc 이하의 규격에 따라서 만들어진 차로 정원은 보통 4명 이하가 됩니다.
자동차세가 싸고 연비가 좋은 것이 특징입니다.

2. 미니밴
3열 시트를 갖춰 많은 사람과 짐을 실을 수 있는 넓은 실내 공간을 가진 차로 크기에 따라 콤팩트한 것부터 박스형, 왜건 타입 등 다양합니다. 6명 이상 탈 일이 많다면 검토하는 게 좋습니다.

3. Sport Utility Vehicle, 크로스컨트리
차고가 높은 왜건 스타일의 차로 원래는 오프로드도 달릴 수 있는 차에 대해 쓰는 말인 만큼 기본적으로는 4WD를 설정한 차가 대부분으로 스키나 스노보드로 눈길이나 서핑으로 모래사장을 달린다고 하는 사람들에게 권하지만 요즘엔 도심형 S.U.V.로 2WD로 나오는 차종도 많고 최근에는 2WD로만 나오는 차종도 있습니다.

1990년대 후반까지는 레저용 차라는 의미로 R.V.(Recreational Vehicle)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였는데 R.V.가 미니밴, 왜건, S.U.V. 등으로 다양해지고 S.U.V. 모델이 늘면서 자주 쓰이는 용어가 됐습니다.

4. 세단
엔진룸, 캐빈, 트렁크룸 등 3개가 각각 독립된 차량으로 각각이 독립적이기 때문에 다른 것보다 차음이나 안전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세 유럽 귀족이 타던 마차 또는 그것을 만든 지역 명칭인 프랑스어 스당(sedan)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양쪽에 각각 문이 두 개인 4도어 형태이고 영국에서는 살룬(saloon)이라고 불립니다.

5. 왜건
세단이나 해치백을 기반으로 더 큰 짐칸을 확보한 차로 짐을 많이 싣고 이동하는 일이 많은 사람에게는 편리합니다.
왜건은 포장마차라는 뜻인데 사람과 짐을 같이 실을 수 있는 다목적 차로 S.U.V.와 비슷하지만 차 높이가 낮아 세단과 비슷하면서도 트렁크가 높고 넓습니다. 미국에서는 밴이라는 용어도 씁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기가 별로 없는 것이 물건을 많이 싣는 이미지가 강해서지만 유럽이나 일본에서는 실용적인 차로 인기가 높습니다.

6. 해치백
차의 뒤쪽이 튀어 오르는 문(해치)으로 되어 있어 사람이 타는 캐빈과 짐칸이 일체화되어 있는 차로 경차나 콤팩트카 등 작은 차에 많습니다.
일반 세단형의 트렁크는 노치백이라고 부르는데 세단에 실용성을 가미한 차로 유럽에서 인기 있는 차종이고 주로 5도어 차량이 많습니다.

7. 쿠페
문이 좌우 1개씩이고 승하차성은 4도어보다 떨어지는 대신 스타일이 유려하고 높은 주행성능을 가진 차들이 많습니다.
원래는 문이 두 개인 마차를 뜻하는 말인데 최근에는 4~5인승이더라도 문이 양쪽에 두 개이면 쿠페라고 합니다. 지붕 뒤쪽을 날렵하게 유선형으로 만들고 공기저항을 줄여 스포츠카 스타일에 주로 적용됩니다. 
보통 2인승 하드톱 컨버터블의 뚜껑을 덮으면 쿠페로 변한다는 말도 하고요. 요새는 4도어 쿠페라는 새로운 차종도 등장했습니다.

8. 컨버터블
포장 등으로 만들어진 루프 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자동차로 다른 타입에는 없는 개방감을 맛볼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컨버터블, 카브리올레, 드롭 탑, 로드스터, 스파이더, 오픈카 등으로도 불리며 2도어나 4도어가 있습니다.
차의 지붕을 열 수 있게 변환 가능(convertible) 하다는 뜻에서 컨버터블이라고 부르며 지붕이 천 소재면 소프트톱, 금속이면 하드톱이라고 합니다.
로드스터는 컨버터블 중에서 2인승 스포츠카의 의미가 강한 차인데 이탈리아에서는 스파이더라고도 합니다.

컨버터블은 주로 스포츠카에 많고 운전석 뒤에 특이한 안전장치가 필수입니다.
원통 바를 다는데 전복됐을 때 순간적으로 튀어나와 운전자의 머리 부상을 방지하는 장치인데 아직까지 국내 업체에서는 이런 차를 만들지 못합니다.



9. 상용차, 밴
짐 운반 등 업무를 위해 타는 자동차로 일반 차와 외형은 거의 같지만 값을 낮추기 위해 필요 장비는 줄인 경우가 많습니다.

10. 하이브리드
가솔린 엔진+전기 모터 등 2종류의 다른 동력원을 탑재하고 있는 차를 말합니다. 높은 연비가 큰 특징이고 전기만 따로 충전이 가능한 플러그 하이브리드도 있으며 한 엔진에 가솔린과 LPG 두 가지 연료를 탑재하고 선택하며 타는 차는 바이퓨얼이라고 부릅니다.

11. 복지차량
고령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타고 내리기 쉽도록 고안되어 있는 자동차로 크게 2종류가 있는데 장애를 가진 사람이 운전하기 쉬운 장치를 갖춘 차와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타고 내리기 쉬운 장치를 갖춘 차가 있습니다.

12. 트럭
트럭은 운전석을 포함한 차체에 용도에 따라 다른 보디(냉동용, 믹서 등)를 가진 자동차로 지붕이 없는 짐칸(픽업)을 상용 목적으로 하는 차도 포함합니다.

13. 픽업트럭
트럭처럼 운전석을 포함한 차체에 지붕이 없는 짐칸을 갖고 있지만 승용 목적의 차로 주로 미국에서 인기가 많은 차종입니다.

14. 캠핑카
차내에서 숙식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는 차를 말합니다.
큰 것으로는 침대뿐 아니라 주방과 거실, 샤워실 등을 갖춘 차도 있습니다.


이 밖에도 일정 요건을 갖춘 한 급을 세그먼트라고 하는데요 한국은 배기량 기준으로 자동차 관리법상 승용차는 경형(배기량 1000㏄ 미만) 소형(1500㏄ 미만) 중형(2000㏄ 미만) 대형(2000㏄ 이상)으로 나뉩니다. 

실제 자동차 업체들은 1600㏄ 급을 준중형으로 3000㏄ 미만급을 준대형, 3000㏄ 이상을 대형으로 구분합니다. S.U.V.는 소형(5인승) 중형(7인승) 대형(7인승 3000㏄ 급)으로, 미니밴은 소형(7인승)과 대형 미니밴(9~11인승)으로 구분합니다.

북미에서는 소형 세단을 엔트리카 준중형을 콤팩트카 중형을 미드사이즈카 대형을 라지카로 부릅니다.

유럽에서는 경차~초대형 차를 A~F까지 알파벳을 붙여서 세그먼트라는 용어를 씁니다.